컨텐츠 내용
- 수강신청
- 과정정보
청소년 언어폭력과 인터넷폭력 극복 프로젝트

과정소개
신규과정 20%할인 적용기간 안내
신규과정 20%할인가격은 7기수까지 적용됩니다. 연수일정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^^
※ 연수일정은 QUICKMENU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본 과정은 청소년 문화 속에 심각하게 자리 잡은 언어폭력을 파악하고 근본적인 원인을 이해하여 학교차원에서의 대안책을 마련할 수 있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
이를 통해 청소년 언어폭력을 해결하기 위해 체육 활동에 주목하여 학생들의 신체적, 정서적 변화를 도모하고자 합니다.
학습목표
1. 청소년 언어폭력의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는 현장의 사례, 연구 보고, 통계적 수치 등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.
2. 청소년 언어폭력의 드러나 문제 이면에 담긴 욕할 수 밖에 없는 시기적 특징과 답답함을 적극적으로 공감할 수 있다.
3.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인터넷과 SNS상에서 이루어지는 언어폭력의 양상과 심각성을 사례와 통계로 이해할 수 있다.
4. 다양한 언어폭력이 청소년 시기의 성장에 어떻게 악영향을 미치는지 뇌과학과 실험 결과로 체계화할 수 있다.
5. 학교차원에서 언어폭력을 줄이기 위한 욕설 어원수업과 다양한 프로젝트 방법론을 현장에 맞게 적용 응용할 수 있다.
6. 학교 전체를 체육활동의 문화공간으로 만들어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을 이해하고 학교에 맞게 시도할 수 있다.
7. 청소년의 정서와 심리를 체육활동과 결합한 심리운동의 다양한 방식을 학습하고 선별하여 학교현장에 제안할 수 있다.
2. 청소년 언어폭력의 드러나 문제 이면에 담긴 욕할 수 밖에 없는 시기적 특징과 답답함을 적극적으로 공감할 수 있다.
3.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인터넷과 SNS상에서 이루어지는 언어폭력의 양상과 심각성을 사례와 통계로 이해할 수 있다.
4. 다양한 언어폭력이 청소년 시기의 성장에 어떻게 악영향을 미치는지 뇌과학과 실험 결과로 체계화할 수 있다.
5. 학교차원에서 언어폭력을 줄이기 위한 욕설 어원수업과 다양한 프로젝트 방법론을 현장에 맞게 적용 응용할 수 있다.
6. 학교 전체를 체육활동의 문화공간으로 만들어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을 이해하고 학교에 맞게 시도할 수 있다.
7. 청소년의 정서와 심리를 체육활동과 결합한 심리운동의 다양한 방식을 학습하고 선별하여 학교현장에 제안할 수 있다.
교육대상
1. 초 중 고 교사
2. 담임, 교무, 연구 교사, 학생부 선도부 교사, 체육교사
3. 진로담당, 미래교육담당 및 온라인 원격교육 경험한 모든 교사
2. 담임, 교무, 연구 교사, 학생부 선도부 교사, 체육교사
3. 진로담당, 미래교육담당 및 온라인 원격교육 경험한 모든 교사
수료기준
평가기준 | 진도율 | 최종평가 | 토론 | 합산 점수 |
---|---|---|---|---|
반영점수(비율) | - | 60% | 40% | 100점 |
이수기준 | 80% | 60점/100점 | 40점/100점 | 합산점수 60점 이상 |
※ 각 평가항목의 이수기준을 충족하여야 합니다.
차시 | 강의명 |
---|---|
1차시 | 욕설은 어떻게 문화로 자리 잡았을까 : 의사소통 문화 |
2차시 | 언어폭력을 막기 위해 국가는 무엇을 할까 : 유겐트 하임 |
3차시 | 욕 하지 마! 만으로 가능할까 : 근본적 문제제기 |
4차시 | 언어폭력 없는 학교 가능할까 : 발도르프 학교 |
5차시 | 청소년 스스로 욕 줄일 수 있을까 : 언어개선 프로젝트 |
6차시 | 스트레스를 풀 다른 방법이 있을까 : 대안적 문제제기 |
7차시 | 인터넷 폭력과 악플은 얼마나 심각한가 : 생명을 위협 |
8차시 | 인터넷 중독은 얼마나 위험한가 : 뇌의 손실 |
9차시 | 인터넷에 남긴 기록을 지울 수 있을까 : 디지털 흔적 |
10차시 | 디지털 흔적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: 선택과 책임 |
11차시 | 학교폭력을 학교안에서 해결할 수 있을까 : 학교 체육 |
12차시 | 체육활동은 어떻게 감정조절을 도울까 : 심리운동 도입 |
13차시 | 체육활동이 청소년의 변화를 만들어줄까 : 뇌 활성화 |
14차시 | 잠자는 학교생활을 깨울 수 있을까 : 0교시 체육수업 |
15차시 | 체육활동이 학습향상까지 연결될까 : 데이터와 통계 |